본문 바로가기

감지금은니문수최상승무생계법(묘덕계첩)

  1. 문화예술
  2. 문화재
  3. 유형문화재
  4. 감지금은니문수최상승무생계법(묘덕계첩)

감지금은니문수최상승무생계법(묘덕계첩)

감지금은니문수최상승무생계법(묘덕계첩) 모습

인도 출신 승려로 중국을 거쳐 고려에 입국한 지공(指空 1300-1363)이 자신이 번역한 ‘문수최상승무생계경(文殊最上乘無生戒經)’의 내용을 바탕으로 1326년(고려 충숙왕 13)에 지켜야할 계율의 내용을 우바이(優婆夷 불교를 믿고 삼귀, 오계를 받은 세속의 여자) 묘덕(妙德)에게 남색종이(紺紙)에 은글씨로 써서 준 계첩이다. 받은 이의 이름을 붙여 ‘묘덕계첩’이라고도 한다. 현존하는 지공의 무생계첩 3점 중 가장 오래됐고 가장 완전한 상태이며 제작 관계자, 연대, 변상도의 그림솜씨와 희귀성으로 볼 때 중요한 자료로 역사적, 학술적 가치가 큰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상세정보

기본정보

  • 종별 및 지정번호 : 대구광역시 유형문화재 제 78호
  • 지정년월일 : 2016. 3.10

위치안내

  • 소재지 : 대구광역시 수성구 청호로 321(황금동) 위치보기

현재페이지의 내용과 사용편의성에 만족하십니까?

사용편의성 만족도
자료 담당자
문화관광과 김충윤
전화번호
(☎ 053-666-2168)
최근자료수정일
2023.07.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