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비(碑)는 경상도 관찰사 겸 대구도호부사였던 민응수(閔應洙)가...
이 비는 경상도관찰사 겸 대구도호부사였던 김세호(金世鎬)가 경상감영의...
이공제비는 이서 선생의 치적을 기리기 위해 대구 주민들이 세운 송덕비...
대방광불화엄경 권12(大方廣佛華嚴經 卷12) : 권수의 일부가 낙장되었...
이 책은 고려시대 고승인 체관(諦觀/ 900~975)이 천태사상을 집약하여 정리한...
인도 출신 승려로 중국을 거쳐 고려에 입국한 지공(指空 1300-1363)이 자신이...
이 책은 묘법연화경 7권 가운데 권4∼7로 1책만 전해지고 있다. 작은 글자로...
권근(權近, 1352-1409)이 성리학의 기본원리를 도식화하여 설명한...
고산농악은 마을 개척시기부터 전승되어 오면서 농악 원래의 소박성을...
원래 욱수농악은 동제때 동제당에서 신내림을 축원하는 천왕받이 굿과...
조각장이란 조금(彫金)의 기법으로 쇠나 구리 등의 금속표면에 홈을 파고...
1900년경 진씨(秦氏)문중(門中)의 재실(齋室)로 건립된 한일(韓日) 절충식 건물...
고산서당은 앞쪽으로 남천(南川)과 고산 들녘이 바라다 보이는 성동...
독무재는 벼슬도 마다하고 향리(鄕里)에 은거하며 후진 양성에 전념한...
이 정려각 안에 있는 비석은 대구 경북지방에서 가장 오래된 효자비 중의...
지석묘는 우리나라 청동기시대의 대표적인 무덤으로 고인돌이라고도...
사직단은 토지를 주관하는 신인 사(社)와 곡식을 주관하는 신인 직(稷)...
대구의 남쪽 경계인 팔조령에서 발원하는 신천(新川)은 대구분지를 남에서...
대구 법이산 봉수대는 봉수제도가 체계화되는 조선 전기부터 지속적으로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