쓰레기
쓰레기 배출시간
쓰레기는 규격봉투에 담아 동별로 정해진 요일 밤8시부터 익일2시 사이에 집 앞에 내놓으면 구청에서 수거해 갑니다
동별 배출요일
쓰레기 종 류 |
배출요일 | 배출지역(오후 8시 ~ 익일 2시까지) | 수거요일 | |
---|---|---|---|---|
종량제 봉투 |
일 ~ 금 | 수성구 전지역 | 월 ~ 토 | |
음식물 | 화, 목, 일 | 범어1, 4동, 만촌1, 2, 3동, 황금1, 2동, 두산동, 범물1, 2동 | 월, 수, 금 | |
월, 수, 금 | 중동, 상동, 파동, 지산1, 2동, 고산1, 2, 3동 | 화, 목, 토 | ||
일 ~ 금 | 범어2, 3동, 수성1, 2・3, 4가동 | 월 ~ 토 | ||
재활용 | 투명페트병, 비닐 | 화요일 | 범어1,2,3,4동, 만촌1,2,3동,황금1,2동, 두산동, 범물1,2동 | 수요일 |
그 외 (종이,병,캔,플라스틱, 유색페트병,스티로폼 등) |
목, 일 | 월, 금 | ||
투명페트병, 비닐 | 수요일 | 수성1,2.3,4가동, 중동, 상동, 파동, 지산1,2동, 고산1,2,3동 | 목요일 | |
그 외 (종이,병,캔,플라스틱, 유색페트병,스티로폼 등) |
월, 금 | 화, 토 | ||
대형폐기물 (폐가구 등) |
화, 목, 일 | 범어1,2,3,4동, 만촌1,2,3동,황금1,2동, 두산동, 범물1,2동 | 월, 수, 금 | |
월, 수, 금 | 수성1,2.3,4가동, 중동, 상동, 파동, 지산1,2동, 고산1,2,3동 | 화, 목, 토 |
쓰레기 배출방법
- 가정에서 발생한 생활쓰레기는 반드시 종량제규격 봉투에 담아 집 앞에 내놓아야 합니다
- 쓰레기를 수거하여 처리하는데는 청소차와 수거하는 환경미화원 및 매립장 조성 등에 많은 비용이 소요 됩니다
- 쓰레기는 배출하는 사람이 그 비용을 부담하는 것이 원칙이며, 그 비용은 규격봉투를 구입하는 수입으로 충당됩니다
- 쓰레기를 규격봉투에 담지 않고 배출하면 단속되어 20만원의 과태료가 부과됩니다
- 규격봉투의 끈을 묶지 않고 배출하면 5만원의 과태료가 부과 됩니다
재활용품은 쓰레기와 분리하여 내놓아야 합니다.
종이류, 병류, 캔류, 프라스틱류, 고철류, 의류 등 재활용이 되는 물품은 재활용 그물망에 담아 집앞에 배출하시면 되고, 공동주택은 단지내 설치되어있는 분리수거 장소에 배출하시면 됩니다
대형쓰레기는 스티커 부착 후 배출하여야 합니다.
- 대상 : 대형쓰레기 규격봉투에 담을 수 없는 냉장고, 세탁기, 쇼파, 의자, TV, 책상 등
- 신고접수
신고접수 - 종류, 신고접수 방법(인터넷, 스마트폰 앱, 전화접수) 종류 신고접수 방법 인터넷 홈페이지 ‘대형폐기물 신청’에서 신청·결제 → 스티커 출력하여 부착 또는 배출번호를 유성펜으로 대형폐기물에 기재 후 배출 스마트폰 앱 「여기로」 앱에서 신청·결제 → 배출번호를 유성펜으로 대형폐기물에 기재 후 배출 전화접수 스티커판매소에서 스티커 구입 → 대형폐기물에 스티커 부착 → 수거 업체 신고(☎ 666-2744)
사업장폐기물 배출자 신고
- 폐기물을 1일 100Kg이상 배출하는 자
- 「대기환경보전법」·「물환경보전법」 또는 「소음·진동관리법」에 따른 배출시설을 설치·운영하는 하는 사업장
- 폐수종말 및 하수처리시설, 분뇨처리시설, 가축분뇨 공공처리시설, 폐기물처리시설을 설치․운영하는 사업장
- 폐기물을 1일 평균 300Kg이상 배출하는 자 : 대형사무실, 식당, 병원, 학교 등
- 일련의 공사·작업으로 발생하는 폐기물을 5톤 이상 배출하는 자 : 건설현장 등
->공사의 경우 발주자 및 발주자로부터 최초로 공사의 전부를 도급받은자 포함 - 사업장폐기물을 공동처리하는 경우 운영기구의 대표자
- 폐유, 폐산, 폐알카리, 폐페인트 등 지정폐기물을 월평균 50Kg 이상 배출하는 자 등
사업장폐기물 신고시 구비서류
- 신고서
- 수탁처리능력확인서 사본
- 사업장폐기물배출자 신고필증(변경하는 경우에 한한다)
- 변경사항을 증명할 수 있는 서류(변경하는 경우에 한한다)
- 방치폐기물 이행보증을 확인할 수 있는 서류
- 지정폐기물 배출자는 지정폐기물 처리계획서, 폐기물 분석결과서, 수탁확인서
신고기간
- 일련의 공사로 인해 배출되는 폐기물 : 공사 착공일까지
- 배출시설계 및 사업장일반폐기물 : 배출한 날로부터 1개월이내
- 사업장폐기물 공동처리의 경우 : 사업 개시일로부터 7일이내
처리기한
3일
신고처
자원순환과 (☎ 666-2741)
사업장 폐기물을 불법 처리 및 배출자가 신고를 하지 않고 폐기물을 처리할 경우에는 폐기물관리법에 따라 고발됩니다(최고 7년이하의 징역 또는 7천만원이하의 벌금)
쓰레기를 줄이는 열 가지 방법
- 쓰레기는 반드시 분리·배출합시다.
- 장바구니를 들고 다닙시다.
- 리필제품을 사용합시다.
- 1회용품은 꼭 필요한 때만 사용합시다.
- 과대포장은 삼갑시다.
- 음식물은 먹을 만큼만 만들고 찌꺼기는 물기를 꼭 짜서 버립시다.
- 옷과 장난감은 이웃과 돌려 씁시다.
- 고장난 물건을 수리해서 사용합시다.
- 종이의 뒷면을 재사용합시다.
- 재활용가능 표시제품을 사용합시다.
투명페트병(PET) 별도 분리배출
- 재활용가능자원의 분리수거 등에 관한 지침 개정(20. 8. 24)에 따라
- 2020. 12. 25.부터 공동주택 투명페트병 별도 배출 의무화되었습니다.
- 2021. 12. 25.부터는 단독(다세대)주택, 상가 등에서도 투명페트병 별도 배출이 의무화 됩니다.
- 배출대상: 투명페트병(PET)
※ 주의: 유색페트병(PET), 투명 플라스틱 용기 등은 플라스틱류와 함께 배출해주세요 - 배출방법
- 내용물을 깨끗이 비우고 → 부착상표(라벨) 등을 제거한 후 → 압착하여 → 뚜껑을 닫아 배출 (뚜껑이 철 등이면 뚜껑제거 후 배출)
- 내용물을 깨끗이 비우고 → 부착상표(라벨) 등을 제거한 후 → 압착하여 → 뚜껑을 닫아 배출 (뚜껑이 철 등이면 뚜껑제거 후 배출)
단독(다세대)주택, 상가 등 투명페트병 분리배출 요일제 시행
- 시행일시 : 2021.12.25.~
- 대 상 : 단독(다세대)주택, 상가 등
- 배출방법 : 주1회 정해진 요일에 투명페트병, 비닐 그물망 배출
※그 외 요일에는 투명페트병, 비닐을 제외한 품목 혼합 배출 - 배출요일
- 화요일 저녁 : 범어동, 만촌동, 황금동, 두산동, 범물동
- 수요일 저녁 : 수성동, 중동, 상동, 파동, 지산동, 고산동
음식물쓰레기란?
음식재료 또는 음식물의 생산·유통·가공·조리·보관·소비과정 등에서 발생되는 쓰레기와 남겨서 버려지는 음식물 등을 말합니다.
음식물쓰레기로 배출할 수 없는 것
- 채소류
- 마늘대, 고추대, 옥수수대, 마늘껍질, 양파껍질, 옥수수껍질
- 육류
- 소뼈, 개뼈, 돼지뼈, 동물의 털
- 어패류
- 조개껍질, 소라껍질, 맹독성 복어내장
- 과일류
- 호두껍질, 밤껍질, 땅콩껍질, 파인애플껍질, 복숭아씨, 살구씨
- 기타류
- 녹차찌꺼기, 한약재찌꺼기 등 사료로 재가공 곤란한 것
- 자체수분이 미함유된 것(마른 콩껍질 등)
배출하실 때에는..
- 이물질과 물기는 최대한 제거한 후 배출해야 합니다.
- 소금성분이 많은 된장, 고추장, 간장, 김치 등은 헹구어 배출해야 합니다.
- 비닐, 병뚜껑, 이쑤시개 등 재활용을 저해하는 물질은 제거한 후 배출해야 합니다.
배출방법
- ① 쓰레기봉투 판매소에서 → ② 납부필증을 구입 →③ 배출할 때 마다→ ④ 용기 손잡이에 납부필증 1매씩부착 → ⑤ 자기집 대문(가게)앞 배출
- 납부필증 구입금액 : 3ℓ→ 120원, 5ℓ→ 200원, 20ℓ→810원, 120ℓ→4,880원
대형폐기물 배출방법
- 인터넷 : 홈페이지 ‘대형폐기물 신청’에서 신청·결제 → 스티커 출력하여 부착 또는 배출번호를 유성펜으로 대형폐기물에 기재 후 배출
- 스마트폰 앱 : 「여기로」 앱에서 신청·결제 → 배출번호를 유성펜으로 대형폐기물에 기재 후 배출
※ 구글플레이/앱스토에서 「여기로」 검색 후 다운로드 - 전화접수 : 스티커판매소에서 스티커 구입 → 대형폐기물에 스티커 부착 → 수거업체 신고(☎ 666-2744)
폐가전제품 무상 방문수거
- 대상제품 : 냉장고, 세탁기, 에어컨, TV, 등 아래 품목 참조
- 배출방법 : 사전 배출예약 후 무상수거 (상시접수)
- 인 터 넷 : 폐가전 수거 예약센터 바로가기
- 콜 센 터 : 1599-0903(평일 08시~18시)
- 문의사항 : 콜센터(☎1599-0903, 평일 08:00~18:00) 또는 자원순환과(☎666-2721)
- 고장난 제품은 수거가능하나, 냉장고 냉각기, 세탁기 모터 등 부품이 제거된 원형훼손 제품은 대형폐기물로 배출
무상 방문수거 대상 품목
구분 | 품목 | 비고 |
---|---|---|
대형가전 | 냉장고, 세탁기, 에어컨, TV, 자동판매기, 런닝머신 | |
중형가전 | 전기오븐레인지, 공기청정기, 식기세척기, 식기건조기, 복사기, 정수기(냉온수기), 전자레인지 | |
세트품목 | 전축(구형 오디오 세트), PC세트(본체, 모니터세트) | |
다량품목 | 수량기준 5개 이상 동시 배출 품목 팩시밀리, 전기비데, 전기히터, 전기밥솥, 프린터, 가습기, 선풍기, 청소기, 노트북, 전기다리미, 믹서기, 비디오플레이어, 연수기 (낱개 배출 시 동 행정복지센터 소형폐가전 수거함에 배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