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수성구
  • 러닝톡
  • 수성예약
  • 문화관광
  • 보건소
  • 행정복지센터
  • 의회
  • 이용안내
  • 사이트맵
수성구청통계연보
  • 수성구청 통계연보
  • 자주찾는 통계
    • 인구 현황
    • 기타 통계
  • 수성구 소개
    • 수성구 안내
    • 구정 방침
    • 수성구의 상징
    • 수성구민의 노래
  • 도표로 보는 수성구
    • 행정구역
    • 수성구의 하루
    • 기후
    • 인구
    • 인구동태
    • 사업체
    • 주택
    • 자동차등록
    • 사회복지시설
    • 국민기초생활보장수급자
    • 의료시설
    • 위생관련업소
    • 학교현황
    • 교원1인당 학생수
    • 재정
    • 지방세 징수
    • 공무원
    • 화재발생
  • 통계연보
    • 수록내용
    • 일러두기
    • 연혁
    • 토지
    • 인구
    • 사업체
    • 농림업
    • 광업·제조업
    • 가스·수도
    • 유통·금융
    • 주택·건설
    • 교통·관광·정보통신
    • 보건 및 사회보장
    • 환경
    • 교육 및 문화
    • 재정
    • 공공행정 및 사법
    • 시정 통계
  • 사업체조사 보고서
    • 수록내용
    • 머리말
    • 이용자를 위하여
    • 조사개요
    • 용어해설
    • 통계표
    • 산업분류 일람표
    • 조사표
  • 부록
    • 목차
    • 수성구 기구표
    • 역대 구청장 명단
    • 역대 부구청장 명단
    • 역대 구의회 의장단 명단
    • 시의회 의원 명단
    • 구의회 의원 명단
    • 동청사 현황
    • 행정구역 및 동 명칭
    • 관내 지구대 현황
    • 관내 119 안전센터 현황
    • 관내 주요도로 현황
    • 관내 주요하천 현황
    • 문화재 현황
    • 명승고적
  • 사이트맵
내용 건너뛰기

하효자 정려각

메뉴경로 : 메인 > 부록 > 명승고적 > 하효자 정려각

고려 때 이부시랑을 지낸 하광신의 지극한 효성을 기리기 위하여 조정에서 세운 비(碑)와 각(閣)이다.

하광신은 원래 중국 송나라의 대도독으로서, 고려시대부터 우리나라에 정착하면서 살게된 하흠의 아들 하용의 손자이다. 어릴 때부터 효성이 지극하였다고 하는데, 매서운 찬바람이 불어치는 겨울에 복숭아를 구해다준 전설적인 이야기가 전한다. 하광신의 효성이 지극하다는 소식을 들은 충숙왕(1327)은 하광신이 살던 마을에 효자를 표창하기 위해 세우는 붉은문<정문(旌門)>을 세우고 그의 자손들에게 대대로 부역을 면제하도록 하였다.

이러한 제도는 조선시대에도 계속되었으며, 조선 고종 6년(1896) 그의 자손들에게 세금과 부역을 모두 면제시키라는 공문이 내려왔다. 그 공문 원본은 후손인 하재형 씨가 지금도 소중히 보관하고 있다.

정려각은 정조 5년 (1781년) 다시 지었으나, 일제시대 경부선 철도가 놓이면서 지금 있는 자리로 옮겨왔다.

비문은 이조판서겸 홍문관 대제학이던 황경원이 지었고, 글씨는 통훈대부 사헌부지평 이약채가 썼다.

현재 만촌동에 살고 있는 달성 하씨들이 해마다 돌아가며 관리하고 있다.

건물은 앞면 1칸·옆면 1칸 규모이며, 중앙에 정려비가 있다. 지붕은 옆면에서 볼 때 사람 인(人)자 모양인 맞배지붕으로 꾸몄다.
조선 후기 정려각의 형식을 잘 보여주고 있는 건축물이다.

대구광역시 문화재자료 제18호 - 대구 수성구 만촌동 389-9
하효자 정려각

부메뉴 건너뛰기
  • 부록
    • 목차
    • 수성구 기구표
    • 역대 구청장 명단
    • 역대 부구청장 명단
    • 구의회 위원회명단
    • 시의회 의원 명단
    • 구의회 의원 명단
    • 동청사 현황
    • 행정구역 및 동 명칭
    • 관내 지구대 현황
    • 관내 119 안전센터 현황
    • 관내 주요도로 현황
    • 관내 주요하천 현황
    • 문화재 현황
    • 명승고적
      • 영영축성비
      • 대구부수성비
      • 이공제비 및 군수이후범
      • 선영세불망비
      • 고산농악
      • 욱수농악
      • 상감입사장
      • 야수정
      • 고산서당
      • 독무재
      • 하효자 정려각
      • 고모령의 전설
      • 효자 하광신
      • 두사충과 모명재
      • 황금동의 못안과 봉천
      • 수성유원지
      • 망우당공원